![]() |
오씨가 동방으로 오게 된 사적 |
![]() |
||||||||||||||||
|
![]() 처음에 주무왕(周武王)이 상(商)나라를 이기고 마침내 태백(泰伯 : 주태왕의 첫째아들)과 중옹(仲雍 : 주태왕의 둘째아들)을 오(吳)땅에 봉하니 서로 전하여 19세에 이르러서 수몽(壽夢)이 비로소 왕이라 일컬었다. 뒤에 6군(君)이 있었으며 부차(夫差: 춘추때 오(吳)의 왕. 월(越)을 쳐서 아버지인 오왕 합려의 원수를 갚았으나, 후에 월왕 구천에게 크게 패하자 자살함)에 이르러 월왕(越王) 구천(句踐 : 춘추때 월의 왕. 오왕 합려를 죽인뒤 합려의 아들 부차한테 회계산에서 사로잡혀 굴욕을 당한후,와신상담 한끝에 오를 쳐서 멸망시킴)에게 멸망하게 되었으니 모두 25세에 이르렀다. 태백(泰伯)과 중옹(仲雍)이 있었으니 계간(季簡)>숙달(叔達)>주장(周章)>웅수(熊遂)>가상(柯相)>강구이(疆鳩夷)>여교의오(餘橋疑吾)>가로(柯盧)>주요(周繇)>굴우(屈羽)>이오(夷吾)>금처(禽處)>전(轉).파고(頗高)>귀비(卑)>거제(去齊)>수몽(壽夢) 수몽은 아들이 4인이니 저번,여제,이매,계찰이요. 저번의 아들은 합려(闔閭)요, 그의 아들은 부차(夫差)이다. 월(越)이 오(吳)를 멸망하고 부차의 아들 이의(夷義)를 오에 봉하여 식읍(食邑)으로 2읍을 내려 주어서 그 선조를 제사하게 하였다. 그뒤에 이의의 아들 누양이 위(衛)에 들어가니 위후(衛候)가 이르기를 <본시 오(吳)나라 사람이다.> 하고 오(吳)를 사성(賜姓)하니 이로부터 오씨가 비로서 세상에 드러났다. 고증(考證)하건대, 춘추절서편(春秋絶書篇)에 오누양이 있으니 누양은 곧 부차의 손자이다. 누양의 뒤에 오공 기(起)가 있고 기의 뒤에 오공 첨(瞻)이 있어 후세에 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