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색은 성을 제외한 이름만 입력하며, 반드시 족보에 등재된 이름으로 검색합니다.(예, 오길동 → 길동)
※ 검색 항목은 1가지 이상 입력하면 됩니다. 동명이인이 많을 경우 검색항목을 추가하여 검색하십시오.
※ 본문 내용 은 호, 자, 본관 등의 족보 본문 내용으로 검색하는 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
|
이 름 |
파(派) |
세(世) |
관계 |
부(父) |
조부(祖父) |
구보 |
신보 |
계도 |
책 |
이력 |
촌수 |
|
|
|
字子杏號春園
一○九八年戊寅生 스스로 글을 익혀 文科에 올라 普文閣 政堂文學檢校 및 太部文學侍郞 등 여러 벼슬을 거쳐 吏部侍郞을 지내셨다.
配慶州金氏父敦中 |
|
자자행호춘원
일○구팔년무인생 스스로 글을 익혀 문과에 올라 보문각 정당문학검교 및 태부문학시랑 등 여러 벼슬을 거쳐 이부시랑을 지내셨다.
배경주김씨부돈중 |
|
|
|
|
|
|
字有成號勉山
一一一五年乙未生 太師 김부식과 정습명의 추천으로 문과에 올라 한림학사를 거쳐 吏部侍郞 및 門下平議事에 이르렀다.
配慶州金氏父大中 |
|
자유성호면산
일일일오년을미생 태사 김부식과 정습명의 추천으로 문과에 올라 한림학사를 거쳐 이부시랑 및 문하평의사에 이르렀다.
배경주김씨부대중 |
|
|
|
|
|
|
字得元
一一四四年甲子生 一一七一年(明宗재위때)에 문과 갑과에 급제하여 政堂文學僉議侍郞贊成事를 지냈으며 윤인첨과 더불어 西京(평양)의 반적을 토벌하여 병부상서 신호위 대장군에 이르렀다.
配延日鄭氏父仲夫 |
|
자득원
일일사사년갑자생 일일칠일년(명종재위때)에 문과 갑과에 급제하여 정당문학첨의시랑찬성사를 지냈으며 윤인첨과 더불어 서경(평양)의 반적을 토벌하여 병부상서 신호위 대장군에 이르렀다.
배연일정씨부중부 |
|
|
|
|
|
|
字應夫號克齋
一一六八年戊子生 (고려의종二十二년) 海州君에 封君되시다. 일찍 문과에 급제하여 白川郡守로 계실 때 一一九九年 명주에서 民亂이 일어나자 郎將으로서 招撫(가까이 불러서 타이름)하였다. 또 一二一六年에 上將軍으로서 中軍兵馬使가 되어 군사를 이끌고 契丹軍을 방어할 때 적극 참전하지 않아 파직되었다가 뒤에 다시 복직되어 는知政事에 이르렀다. 그후 거란 토벌에 삼형제가 합세하여 많은 공을 세워 海州君에 봉되었다. 一九六六年丙午에 충청남도 공주시 就利山 艮坐에 海州君 同福君 寶城君의 神壇을 設壇하고 해마다 음력三월六일에 각파 종중 후손이 모여 時享을 모신다. 이곳 신단의 이름을 錦陽壇이라 한다. |
|
자응부호극재
일일육팔년무자생 (고려의종이십이년) 해주군에 봉군되시다. 일찍 문과에 급제하여 배천군수로 계실 때 일일구구년 명주에서 민란이 일어나자 낭장으로서 초무(가까이 불러서 타이름)하였다. 또 일이일육년에 상장군으로서 중군병마사가 되어 군사를 이끌고 계란군을 방어할 때 적극 참전하지 않아 파직되었다가 뒤에 다시 복직되어 는지정사에 이르렀다. 그후 거란 토벌에 삼형제가 합세하여 많은 공을 세워 해주군에 봉되었다. 일구육육년병오에 충청남도 공주시 취리산 간좌에 해주군 동복군 보성군의 신단을 설단하고 해마다 음력삼월육일에 각파 종중 후손이 모여 시향을 모신다. 이곳 신단의 이름을 금양단이라 한다. |
|
|
|
|
|
|
字應儒號德齋
一一七一年辛卯生 比安君과 同福君에 封君되시다. 文科에 及第하여 開寧郡守로 계실 때 兄과 함께 거란군을 물리친 功으로 比安君에서 다시 同福君으로 封하였다. 上將軍에 임명되었다.
配분명하지 않아 전하지 못한다. 錦陽壇에 함께 모셔져 있다. |
|
자응유호덕재
일일칠일년신묘생 비안군과 동복군에 봉군되시다. 문과에 급제하여 개령군수로 계실 때 형과 함께 거란군을 물리친 공으로 비안군에서 다시 동복군으로 봉하였다. 상장군에 임명되었다.
배분명하지 않아 전하지 못한다. 금양단에 함께 모셔져 있다. |
|
|
|
|
|
|
軍威君으로 封하고 본관을 分籍하였다. |
|
군위군으로 봉하고 본관을 분적하였다. |
|
|
|
|
|
|
字應男號醒齋
一一七四年甲午生 寶城君에 封되었다. 寶城郡守로 계실 때 兄의 부름을 받고 삼형제가 합심하여 거란군을 쳐서 공을 세워서 寶城君에 封君되었다.
配진산盧氏父光淳 |
|
자응남호성재
일일칠사년갑오생 보성군에 봉되었다. 보성군수로 계실 때 형의 부름을 받고 삼형제가 합심하여 거란군을 쳐서 공을 세워서 보성군에 봉군되었다.
배진산노씨부광순 |
|
|
|
|
|
|
諡文獻
高麗朝에 侍中을 지내셨다.
墓同福면독상리산二三번지母后山서쪽기슭齋宮洞묘좌
公은 官衙의 남쪽에 돌을 쪼아서 四十八燈을 만들고 밤마다 燈에 불을 켜고 國家의 繁榮과 子孫의 昌盛을 축원하니 그후에 子孫들이 대대로 잇따라 벼슬에 오르게 되니 사람들이 전하기를 기이한 일이라 했다. 石燈의 形體가 여러 백년을 지나도록 그대로 남아있고 지금도 완연하다.
顯宗 庚戌年(一六七○年) 後孫 始壽(號는 水村)가 全羅觀察使로 있을 때 墓 앞에 碑를 세우고 事蹟을 간단히 새겼으며 또 石燈 옆에 작은 碑石이 있었으나 오랜 세월로 詳考할 수 없게 되자 새로 碑를 세우고 金尙保의 記錄을 추가하였다.
세월이 오래되어 이또한 마모되었다. 英祖 정해년(一七六七年)에 다시 바꾸어 세웠다. 一九五九年에 후손 炳晳이 碑文을 지어 神道碑를 세웠다. 一九九○年 同福吳氏 光州 全南 宗親會(會長 형옥 간사장 기탁) 주관으로 石燈閣을 重修하고 四十八 석등기비와 헌성비를 세웠다. 一九九三年 문헌공 묘소로 가는 길을 넓히고 묘 둘레석을 설치하는 등 墓域을 정화하였다. 一九九六年 孝思齋를 보수하고 孝源堂을 건립하여 종원과 후손의 교육장으로 활용토록 하였다. |
|
시문헌
고려조에 시중을 지내셨다.
묘동복면독상리산이삼번지모후산서쪽기슭재궁동묘좌
공은 관아의 남쪽에 돌을 쪼아서 사십팔등을 만들고 밤마다 등에 불을 켜고 국가의 번영과 자손의 창성을 축원하니 그후에 자손들이 대대로 잇따라 벼슬에 오르게 되니 사람들이 전하기를 기이한 일이라 했다. 석등의 형체가 여러 백년을 지나도록 그대로 남아있고 지금도 완연하다.
현종 경술년(일육칠○년) 후손 시수(호는 수촌)가 전라관찰사로 있을 때 묘 앞에 비를 세우고 사적을 간단히 새겼으며 또 석등 옆에 작은 비석이 있었으나 오랜 세월로 상고할 수 없게 되자 새로 비를 세우고 김상보의 기록을 추가하였다.
세월이 오래되어 이또한 마모되었다. 영조 정해년(일칠육칠년)에 다시 바꾸어 세웠다. 일구오구년에 후손 병석이 비문을 지어 신도비를 세웠다. 일구구○년 동복오씨 광주 전남 종친회(회장 형옥 간사장 기탁) 주관으로 석등각을 중수하고 사십팔 석등기비와 헌성비를 세웠다. 일구구삼년 문헌공 묘소로 가는 길을 넓히고 묘 둘레석을 설치하는 등 묘역을 정화하였다. 일구구육년 효사재를 보수하고 효원당을 건립하여 종원과 후손의 교육장으로 활용토록 하였다. |
|
|
|
|
|
|
고려 忠烈王 六년(一二八○年) 文科에 급제하여 왕으로부터 紅렴子를 하사받았다. 朝靖大夫神虎衛大將軍 八十九세 되던 해 官職을 그만두었다.
配同福和氏父散員仁亮
墓동복면재궁동에 夫君과 함께 설단하여 시향을 모시고 있다. |
|
고려 충렬왕 육년(일이팔○년) 문과에 급제하여 왕으로부터 홍렴자를 하사받았다. 조정대부신호위대장군 팔십구세 되던 해 관직을 그만두었다.
배동복화씨부산원인량
묘동복면재궁동에 부군과 함께 설단하여 시향을 모시고 있다. |
|
|
|
|
|
|
諡文靖
匡靖大夫 都僉議 侍郞 贊成事로 版圖郎事의 判事와 上護軍이시다. 고려 忠肅王朝에 벼슬을 그만두다.
配안강安氏父別將精勇 안강은 康津 땅에 있던 고을이다. |
|
시문정
광정대부 도첨의 시랑 찬성사로 판도낭사의 판사와 상호군이시다. 고려 충숙왕조에 벼슬을 그만두다.
배안강안씨부별장정용 안강은 강진 땅에 있던 고을이다. |
|
|
|
|
|
|
|
|
|
配하양文氏 또는 선산문씨라 전한다. 父 郎將 且 始祖 이하 여러 世代의 夫人에 대한 記錄은 옛 族譜에는 傳하지 않았다. 그후 마을(鄕村) 사람들에게서 世譜를 얻어보니 始祖로부터 文明公까지의 夫人들에 대한 本貫과 姓氏가 자세히 실려있었다. 이제 萬姓總譜에 실려있는 바와 마을 사람들의 世譜 및 다른 記錄들을 합하여 보니 많은 考證을 할 수 있었다. 또한 文明公 夫人의 記錄은 成李譜로 인하여 이제 수록하며 이 세가지를 根據하면 可히 믿을 수 있는 까닭에 始祖 大將軍(四세) 文靖公(五세) 靖平公(九세)의 夫人까지를 아울러 근거하여 기록한다. 和順郡 同福面 獨上里 齋宮洞 母后山 서쪽 기슭에 設壇하여 시향을 모신다. |
|
배하양문씨 또는 선산문씨라 전한다. 부 낭장 차 시조 이하 여러 세대의 부인에 대한 기록은 옛 족보에는 전하지 않았다. 그후 마을(향촌) 사람들에게서 세보를 얻어보니 시조로부터 문명공까지의 부인들에 대한 본관과 성씨가 자세히 실려있었다. 이제 만성총보에 실려있는 바와 마을 사람들의 세보 및 다른 기록들을 합하여 보니 많은 고증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문명공 부인의 기록은 성이보로 인하여 이제 수록하며 이 세가지를 근거하면 가히 믿을 수 있는 까닭에 시조 대장군(사세) 문정공(오세) 정평공(구세)의 부인까지를 아울러 근거하여 기록한다.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재궁동 모후산 서쪽 기슭에 설단하여 시향을 모신다. |
|
|
|
|
|
|
戶長
配同福和氏父戶長式甫 |
|
호장
배동복화씨부호장식보 |
|
|
|
|
|
|
|
|
|
Tip!
1. 검색하고자 하는 이름(성을 제외한 명(名), 사위는 성명(姓名)을 모두 입력)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합니다.
2. 동명이인이 많은 경우 부(父) 이름도 입력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을 할 있습니다.
3. 자(字), 호(號), 이력 등의 족보 내용을 검색할 경우에는 본문내용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합니다.
4. 검색된 정보의 오른쪽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