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색은 성을 제외한 이름만 입력하며, 반드시 족보에 등재된 이름으로 검색합니다.(예, 오길동 → 길동)
※ 검색 항목은 1가지 이상 입력하면 됩니다. 동명이인이 많을 경우 검색항목을 추가하여 검색하십시오.
※ 본문 내용 은 호, 자, 본관 등의 족보 본문 내용으로 검색하는 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
|
이 름 |
파(派) |
세(世) |
관계 |
부(父) |
조부(祖父) |
구보 |
신보 |
계도 |
책 |
이력 |
촌수 |
|
|
|
吏部侍郞 翰林學士로서 유명한 학자였다. |
|
이부시랑 한림학사로서 유명한 학자였다. |
|
|
|
|
|
|
조카 遇慶과 함께 송나라에 들어가 임공땅에서 살았다. |
|
조카 우경과 함께 송나라에 들어가 임공땅에서 살았다. |
|
|
|
|
|
|
상세한 행적이 불명하다,; |
|
상세한 행적이 불명하다, |
|
|
|
|
|
|
九七五年乙亥生 천심이 강직하고 勇猛스럽기로 그 節槪와 技倆이 풍부하게 뛰어나서 兄 玠를 이어서 蜀地를 지킨 지 二十여년 우연히 그 방면에 玠 다음으로 뛰어났다. 太夫 및 泗川宣撫使를 지내고 新安王으로 봉하였다. |
|
구칠오년을해생 천심이 강직하고 용맹스럽기로 그 절개와 기량이 풍부하게 뛰어나서 형 개를 이어서 촉지를 지킨 지 이십여년 우연히 그 방면에 개 다음으로 뛰어났다. 태부 및 사천선무사를 지내고 신안왕으로 봉하였다. |
|
|
|
|
|
|
九九五年乙未生 興州都統制使와 利州按撫使를 지냈다. |
|
구구오년을미생 흥주도통제사와 이주안무사를 지냈다. |
|
|
|
|
|
|
宋나라 大將軍이며 宋나라에서 그대로 살았다. |
|
송나라 대장군이며 송나라에서 그대로 살았다. |
|
|
|
|
|
|
|
高麗太祖王建의 妃이시다.
<;D3>;王建太祖가 後三國 定立의 혼란기에 弓裔의 휘하장군으로 西南地方을 정토하는 과정에서 후일의 莊和王后 吳氏를 만난 곳이 흥룡동이다. 高麗 二代王(惠宗)을 두신 뒤 오씨가 빨래하던 샘을 浣紗泉이라 命名하는 동시에 興龍寺를 이곳에 짓게 하였다. 羅州市 松月洞(옛 흥룡동) 市立公園 경내에 있으며 全羅南道 紀念物 제九十三호로 指定되어 있다. |
|
고려태조왕건의 비이시다.
왕건태조가 후삼국 정립의 혼란기에 궁예의 휘하장군으로 서남지방을 정토하는 과정에서 후일의 장화왕후 오씨를 만난 곳이 흥룡동이다. 고려 이대왕(혜종)을 두신 뒤 오씨가 빨래하던 샘을 완사천이라 명명하는 동시에 흥룡사를 이곳에 짓게 하였다. 나주시 송월동(옛 흥룡동) 시립공원 경내에 있으며 전라남도 기념물 제구십삼호로 지정되어 있다. |
|
|
|
|
|
|
|
|
|
字德明號白山
諡文襄公
一○五五年乙未生 門下侍中平章事 一○六七年(高麗文宗二十八년)에 족질 翊과 함께 高麗에 들어와 竹山(안성)에 정거하면서 평소에 닦아온 德을 길러 文宗 二十二년에 文科에 及第하였다. 고려 숙종 五년(一一○○년)에 慶祝使로 송나라에 건너가서 宋皇帝의 등극을 축하하고 太平御覽을 구하여 가지고 와서 王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一一○七年(高麗睿宗二年)에 副元帥에 봉헤져 尹瓘(대원수)과 함께 함흥작전에서 여진을 물리친 후 一四○여 부락을 합하여 九성을 쌓고 凱旋하니 協謀同德致勳功臣 호를 받고 尙書左僕는知가 된 후 또다시 흥주에서 여진을 크게 무찔러 攘久鎭國功臣의 호를 받고 門下侍中平章事에 오르시었다. 또 길주작전에서 여진을 치다가 실패하여 돌아오니 宰相 崔弘嗣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가왕께서 과거 전공을 인정하여 다시 등용되어 다시 吏部尙書 禮部尙書 兵部尙書를 지낸 바 있는 高麗 名臣이다. 一一一六年(高麗睿宗十一年)에 돌아가시니 王命으로 近臣의 호상을 감수케 하고 百官會葬을 하였으나 無嗣함으로 족질 翊을 系子로 삼아 代를 잇게 했다.
(고려사) 李朝宣祖 때에 尹瓘과 함께 鏡城靖北祠 北靑至德祠에 德과 學을 추념할 것을 命하였으며 先春嶺에 戰功碑를 세워 後世에 전하도록 하였다.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덕산리 德山祠에 影幀과 같이 奉安하고 每年 陰歷 三月 三日에 享祀를 모신다.
配順興安氏父源 |
|
자덕명호백산
시문양공
일○오오년을미생 문하시중평장사 일○육칠년(고려문종이십팔년)에 족질 익과 함께 고려에 들어와 죽산(안성)에 정거하면서 평소에 닦아온 덕을 길러 문종 이십이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려 숙종 오년(일일○○년)에 경축사로 송나라에 건너가서 송황제의 등극을 축하하고 태평어람을 구하여 가지고 와서 왕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일일○칠년(고려예종이년)에 부원수에 봉헤져 윤관(대원수)과 함께 함흥작전에서 여진을 물리친 후 일사○여 부락을 합하여 구성을 쌓고 개선하니 협모동덕치훈공신 호를 받고 상서좌복야는지가 된 후 또다시 흥주에서 여진을 크게 무찔러 양구진국공신의 호를 받고 문하시중평장사에 오르시었다. 또 길주작전에서 여진을 치다가 실패하여 돌아오니 재상 최홍사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가왕께서 과거 전공을 인정하여 다시 등용되어 다시 이부상서 예부상서 병부상서를 지낸 바 있는 고려 명신이다. 일일일육년(고려예종십일년)에 돌아가시니 왕명으로 근신의 호상을 감수케 하고 백관회장을 하였으나 무사함으로 족질 익을 계자로 삼아 대를 잇게 했다.
(고려사) 이조선조 때에 윤관과 함께 경성정북사 북청지덕사에 덕과 학을 추념할 것을 명하였으며 선춘령에 전공비를 세워 후세에 전하도록 하였다.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덕산리 덕산사에 영정과 같이 봉안하고 매년 음력 삼월 삼일에 향사를 모신다.
배순흥안씨부원 |
|
|
|
|
|
익(翊) |
상계 |
19 |
系子 |
연총(延寵) |
백영(伯英) |
1-8 |
1-8 |
 |
 |
 |
 |
|
生父曦見上
諡忠翼公
一○四六年丙戌生 어려서부터 무예가 뛰어나므로 太師 崔忠의 추천으로 兵馬祿事가 되어 文倉米를 西北州鎭에 運用하여 문양공을 따라 女眞을 토벌하여 功을 세워 대장군이 되었다. 후에 문하시중평장사로 追贈되었다.
配咸安李氏父文窮 |
|
생부희견상
시충익공
일○사육년병술생 어려서부터 무예가 뛰어나므로 태사 최충의 추천으로 병마록사가 되어 문창미를 서북주진에 운용하여 문양공을 따라 여진을 토벌하여 공을 세워 대장군이 되었다. 후에 문하시중평장사로 추증되었다.
배함안이씨부문궁 |
|
|
|
|
|
|
字光覺
諡文忠公
一○七八年戊午生 致仕功臣 金紫光祿大夫 延安侯에 봉하다. 才藝가 영특하여 일찍 문과에 급제하여 翰林政堂文學尙書左僕射를 하였고 고려仁宗四년(一一二六)에 이자겸 김찬이 병란을 일으켜 왕궁으로 쳐들어 오자 왕을 설득하여 왕을 西宮으로 옮기고 권정균과 함께 끝까지 왕을 호위하여 반적 조광을 물리치고 王宮을 평정하니 功臣의 諡號와 侯爵에 봉하였다.
配海州崔氏父中謙 |
|
자광각
시문충공
일○칠팔년무오생 치사공신 금자광록대부 연안후에 봉하다. 재예가 영특하여 일찍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정당문학상서좌복야를 하였고 고려인종사년(일일이육)에 이자겸 김찬이 병란을 일으켜 왕궁으로 쳐들어 오자 왕을 설득하여 왕을 서궁으로 옮기고 권정균과 함께 끝까지 왕을 호위하여 반적 조광을 물리치고 왕궁을 평정하니 공신의 시호와 후작에 봉하였다.
배해주최씨부중겸 |
|
|
|
|
|
|
字俊覺
兄 璟과 더불어 諡 文忠公이며 一胎倂生(쌍둥이)이다. 判禮郭事를 지내셨다. |
|
자준각
형 경과 더불어 시 문충공이며 일태병생(쌍둥이)이다. 판례곽사를 지내셨다. |
|
|
|
|
|
|
|
|
|
Tip!
1. 검색하고자 하는 이름(성을 제외한 명(名), 사위는 성명(姓名)을 모두 입력)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합니다.
2. 동명이인이 많은 경우 부(父) 이름도 입력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을 할 있습니다.
3. 자(字), 호(號), 이력 등의 족보 내용을 검색할 경우에는 본문내용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합니다.
4. 검색된 정보의 오른쪽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