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색은 성을 제외한 이름만 입력하며, 반드시 족보에 등재된 이름으로 검색합니다.(예, 오길동 → 길동)
※ 검색 항목은 1가지 이상 입력하면 됩니다. 동명이인이 많을 경우 검색항목을 추가하여 검색하십시오.
※ 본문 내용 은 호, 자, 본관 등의 족보 본문 내용으로 검색하는 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
|
이 름 |
파(派) |
세(世) |
관계 |
부(父) |
조부(祖父) |
구보 |
신보 |
계도 |
책 |
이력 |
촌수 |
|
|
|
|
|
|
昌寧人 尙書 父中郞將인皐이다.
子成連 子成遵 壻李貴齡 延安人 左相 |
|
창녕인 상서 부중랑장인고이다.
자성연 자성준 서이귀령 연안인 좌상 |
|
|
|
|
|
|
【判事公派】
典客寺判事 |
|
【판사공파】
전객시판사 |
|
|
|
|
|
|
|
鳳州(봉산) 고을 知事(원님) |
|
봉주(봉산) 고을 지사(원님) |
|
|
|
|
|
|
|
|
諡文簡
崇政大夫樞密院判事로修文殿의大提學이다.詩文이東文選에올라있다.
配慶州崔氏父삼사좌윤玄祐 판서즉의 손녀요 通禮門의 판사인 淸州慶氏 綏의 외손녀이다.
墓전북김제시신월동참의공묘역에 설단으로 성묘하고 있다. |
|
시문간
숭정대부추밀원판사로수문전의대제학이다.시문이동문선에올라있다.
배경주최씨부삼사좌윤현우 판서즉의 손녀요 통례문의 판사인 청주경씨 수의 외손녀이다.
묘전북김제시신월동참의공묘역에 설단으로 성묘하고 있다. |
|
|
|
|
|
|
홍무七년 갑인(一三七四年)에 文科에 급제하여 吏曹는議를 지내고 말년에 황해도 白川땅의 음촌에 눌러살았다. 文章이 뛰어나고 草書와 隸書에 능하였다. 八十五세에 별세
配咸悅南宮氏父장령道 摠郞인 寶의 손녀요 문과에 장원하여 諫議大夫인 敏의 증손자요 洪有量의 외손이다.
墓배천토산자좌 |
|
홍무칠년 갑인(일삼칠사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는의를 지내고 말년에 황해도 배천땅의 음촌에 눌러살았다.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와 예서에 능하였다. 팔십오세에 별세
배함열남궁씨부장령도 총랑인 보의 손녀요 문과에 장원하여 간의대부인 민의 증손자요 홍유량의 외손이다.
묘배천토산자좌 |
|
|
|
|
|
|
戶曹는義 九十二세에 별세하였다.
墓김제시신월동뒷등간좌 一七八六年에 비로서 흔적을 얻게 되어 돌보게 되었다. 公의 사위 權讓의 묘소가 公의 묘 언덕 아래에 있어서 그 비문을 살펴서 찾았다. 一八六四年 후손인 校理 德泳이 비석을 세워 간단히 그 자취를 적어두고 一九○八年 각처의 후손들이 정성을 모아 묘 아래에 祭閣을 지었다. |
|
호조는의 구십이세에 별세하였다.
묘김제시신월동뒷등간좌 일칠팔육년에 비로서 흔적을 얻게 되어 돌보게 되었다. 공의 사위 권양의 묘소가 공의 묘 언덕 아래에 있어서 그 비문을 살펴서 찾았다. 일팔육사년 후손인 교리 덕영이 비석을 세워 간단히 그 자취를 적어두고 일구○팔년 각처의 후손들이 정성을 모아 묘 아래에 제각을 지었다. |
|
|
|
|
|
|
安東人 護軍이다. 父는 花山府院君 復이며 아들은 鎰이다. 묘가 장인 참의공의 묘 아래에 있다. |
|
안동인 호군이다. 부는 화산부원군 부이며 아들은 일이다. 묘가 장인 참의공의 묘 아래에 있다. |
|
|
|
|
|
|
【鎭撫將公派】
鎭撫將軍
墓鳳山鶴峴에 있다. |
|
【진무장공파】
진무장군
묘봉산학현에 있다. |
|
|
|
|
|
|
|
|
|
|
Tip!
1. 검색하고자 하는 이름(성을 제외한 명(名), 사위는 성명(姓名)을 모두 입력)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합니다.
2. 동명이인이 많은 경우 부(父) 이름도 입력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을 할 있습니다.
3. 자(字), 호(號), 이력 등의 족보 내용을 검색할 경우에는 본문내용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합니다.
4. 검색된 정보의 오른쪽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